티스토리 뷰
한국도 지진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매스컴을 통해 접하셨을 텐데요. 이 시간 지진 강도, 피해 사례, 발생 원인 및 대피 요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자연 앞에 인류가 얼마나 나약한 존재인지,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피해를 전해 들을 때 많이 애석함을 느낍니다.
특별히 지진이 발발할 경우, 대피 요령(행동 요령)에 많은 관심 가져 주셔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선진 시민이 되시길 바랍니다. 시간이 없으신 분께서는 세 번째 목차만이라도 꼭! 참고하시길 바라며, 재난 시 이 글이 여러분에게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목차
※ 원하시는 목차의 목록을 누르시면 해당 항목으로 이동합니다.
지진 강도
지진 강도를 설명하는데 리히터 규모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규모와 피해를 도표로 설명드리겠습니다.
지진 강도 | |
리히터 규모 | 피해 정도 |
0~1.9 | - 지진계에 의해서만 탐지가 가능 - 대부분의 사람이 진동을 느끼지 못함 |
2~2.9 | - 대부분의 사람이 느낌 - 창문이나 전등 처럼 매달린 물체가 흔들림 |
3~3.9 | - 대형 트럭이 지나갈 때의 진동과 비슷 |
4~4.9 | - 집이 크게 흔들리고 창문 등 파손 - 작고 불안정한 위치의 물체들이 떨어짐 |
5~5.9 | - 서있기가 곤란해지고 가구들이 움직임 - 부착물이나 내장재 등이 떨어짐 |
6~6.9 | - 제대로 지어진 구조물도 피해 발생 - 부실 건축물의 큰 피해 발생 |
7~7.9 | - 지표면에 규열이 발생 - 건물 기초 파괴 - 돌담, 축대 등 파손 |
8~8.9 | - 교량과 같은 대형 구조물 대부분 파괴 - 산사태 발생 가능 |
9 이상 | - 건물들의 전면적 파괴 - 철로가 휘어짐 - 지면에 단층 현상 발생 |
※ 우리나라에서 관측된 가장 강력한 지진은 2016년 9월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.8이었으며, 6.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.
지난달 7월 29일에 전북 진안에서 발생했던 규모 3.5는 위의 도표에서 보시다시피 대형 트럭이 지나갈 때의 진동과 비슷하다고 하니 가볍게만 볼 수 없는 규모입니다.
일주일 후 8월 7일 전남 고흥군에서 규모 2.2의 지진이 발생했으나 지진 감도만 느꼈을 뿐 큰 피해가 없었다고 하니 다행인 것 같습니다.
지진 피해 사례_국내외 종합
▶ 재산 피해 순 지진 사례 Top10
재산 피해 순 지진 사례는 아래 도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순위 | 지진 | 피해 국가 | 규모 | 재산 피해 |
1 |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(일명 동일본 대지진) |
일본 | 9.1 | $3,600억 달러 |
2 |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|
일본 | 6.9 | $2,000억 달러 |
3 | 2008년 쓰촨 대지진 |
중국 | 8.0 | $1,500억 달러 |
4 | 2023년 튀르키예-시리아 지진 |
튀르키예 및 시리아 | 7.8 | $1,051억 달러 |
5 | 2010년 캔터베리 지진 |
뉴질랜드 | 7.0 | $400억 달러 |
6 |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|
일본 | 6.8 | $280억 달러 |
7 | 2011년 시킴 지진 |
인도, 중국, 네팔, 부탄 등 |
6.9 | $223억 달러 |
8 | 1999년 이즈미트 지진 |
튀르키예 | 7.6 | $200억 달러 |
9 | 2009년 라퀼라 지진 |
이탈리아 | 6.3 | $160억 달러 |
10 | 2012년 북이탈리아 지진 |
이탈리아 | 6.1 | $158억 달러 |
▶ 사망자수 순 지진 Top10
다음 도표는 최소 10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지진 도표입니다. 그 수를 머릿속으로 가늠조차 못하며 너무도 참담합니다. 다른 재해도 끔찍하지만 지진이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이 막대함을 느끼게 해 줍니다.
순위 | 지진 시기 | 진앙 | 사망자수 | 규모 |
1 | 1556년 | 명나라 섬서성 |
830,000명 | 8.0 |
2 | 1976년 | 중화인민 공화국 허베이성 |
242,769명 | 7.8 |
3 | 1920년 | 중화민국 닝샤성 |
273,400명 | 7.8 |
4 | 526년 | 비잔티움제국 안티오케이아 (현 튀르키예) |
250,000명 | 7.0 |
5 | 1139년 | 셀주크제국 간자 (현 아제르바이잔) |
230,000 ~300,000명 |
7.0 |
6 | 2004년 |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|
227,898명 | 9.1 ~9.3 |
7 | 1138년 | 셀주크제국 알레포 (현 시리아) |
130,000 ~230,000명 |
7.1 |
8 | 2010년 | 아이티 | 100,000 ~316,000명 |
7.0 |
9 | 1303년 | 원나라 산서성 |
200,000명 | 8.0 |
10 | 856년 | 아바스칼리파국 담간 (현 이란) |
150,000명 | 7.9 |
국내외 재산 피해 순 지진 사례와 사망자순 지진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. 상상할 수 없는 수치에 압도당하기도 전에 저 숫자가 나타내는 바와 그 피해를 감히 가늠할 수가 어렵습니다.
정말 다행인 것은 우리나라가 저 순위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. 물론 역사서를 비롯해 지금까지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수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집계가 많지만, 막대한 재산과 인명피해가 많지 않았다는 것입니다.
▶ 한반도 지진 규모 순위 Top10
순위 | 지진 시기 | 지진 지역 | 규모 |
1 | 2016년 | 경북 경주시 | 5.8 |
2 | 2017년 | 경북 포항시 | 5.4 |
3 | 1980년 | 평북 의주-삭주-귀성 | 5.3 |
4 | 2004년 | 경북 울진군 | 5.2 |
5 | 1978년 | 경북 상주시 | 5.2 |
6 | 2014년 | 충남 태안군 | 5.1 |
7 | 2016년 | 경북 경주시 | 5.1 |
8 | 2016년 | 울산 동구 | 5.0 |
9 | 2003년 | 인천 웅진군 | 5.0 |
10 | 1978년 | 충남 홍성군 | 5.0 |
위의 도표를 보시다시피 점차 규모가 6.0에 수렴하고 있습니다. 한반도도 지진 재난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 같아 조금 두려운 마음이 듭니다.
그렇다면 지진이 발생했을 때 대피 요령 즉, 행동 요령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?
지진 대피 요령(★★★★★)
(행동 요령)
지진 대피 요령(행동 요령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번 목차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수시로 숙지하셔서 지진 발생 시 몸이 먼저 반응하셨으면 좋겠습니다.
지진이 발생했을 때 3단계에 걸쳐 진행별 행동 요령이 있습니다. 3단계 중 2단계인 '지진 발생 시'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 '평소 대비'와 '지진 대피 후'의 정보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시청각 자료까지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.
▶ 지진 발생 시
지진이 발생할 경우, 다음과 같이 대피하시기 바랍니다.
1. 튼튼한 탁자 아래에 들어가 몸을 보호합니다.
-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~2분 정도입니다.
- 튼튼한 탁자의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.
- 탁자 아래와 같이 피할 곳이 없을 때에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합니다.
2. 가스와 전깃불을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합니다.
- 흔들림이 멈춘 후 당황하지 말고 화재에 대비하여 가스와 전깃불을 끕니다.
- 문이나 창문을 열어 언제든 대피할 수 있도록 출구를 확보합니다.
- 흔들림이 멈추면, 출구를 통해 밖으로 나갑니다.
3. 집에서 나갈 때는 신발은 꼭 신고 이동합니다.
- 지진이 발생하면 유리 조각이나 떨어져 있는 물체 때문에 발을 다칠 수 있으니,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을 신고 이동합니다.
4. 계단을 이용하여 밖으로 대피합니다.
- 지진이 나면 엘리베이터가 멈출 수 있으므로 타지 말고, 계단을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대피합니다.
- 밖으로 나갈 때에는 떨어지는 유리, 간판, 기와 등에 주의하며,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침착하게 대피합니다.
5. 건물이나 담장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합니다.
- 건물 밖으로 나오면 담장, 유리창 등이 파손되어 다칠 수 있으니, 건물과 담장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대피합니다.
6.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.
-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며 신속하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.
- 이동할 때에는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대피합니다.
7.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.
- 대피 장소에서는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킵니다.
- 지진 발생 직후에는 근거 없는 소문이나 유언비어가 유포될 수 있으니,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 등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.
장소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이 행동합니다.
1. 집에 있을 때
- 가구, 텔레비전 등 낙하물을 피해 탁자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머리와 몸을 보호합니다.
- 주방에서는 가스를 차단하여 화재발생에 주의합니다.
- 욕실에서는 몸을 낮추고 목욕대야, 수건, 목욕가운 등으로 머리와 몸을 보호합니다.
2. 학교에 있을 때
-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.
- 흔들림이 멈추면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키면서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.
- 복도에서는 창문 유리가 깨질 우려가 있으니 창문과 떨어져 이동합니다.
3. 고층 건물에 있을 때
- 높은 층의 건물일수록 흔들림이 크게 오래 지속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떨어지는 물건에 더욱 주의하여야 합니다.
4. 사무실에 있을 때
- 사무실은 컴퓨터 본체, 모니터 등 무거운 물건들이 많아 다칠 위험이 큽니다.
- 사무실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.
5. 백화점‧마트에 있을 때
- 진열장에서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몸을 보호합니다.
- 계단이나 기둥 근처로 피하고, 흔들림이 멈추면 안내에 따라 밖으로 대피합니다.
-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있다면, 손잡이를 잡고 앉아서 버틴 후 침착히 벗어납니다.
6. 극장‧경기장에 있을 때
-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가방 등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잠시 동안 자리에 머물러 있습니다.
- 사람이 많이 있는 곳에서는 한 곳으로 갑자기 몰리게 되면 사고의 우려가 있으니, 안내에 따라 대피합니다.
7.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
- 지진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를 타지 말아야 합니다.
-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다면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신속하게 내린 후,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합니다.
- 만약 엘리베이터 안에 갇혔을 때는 인터폰이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구조를 요청합니다.
8. 자동차를 타고 있을 때
- 비상등을 켜고 서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에 차를 세우고 긴급차량을 위해 도로의 중앙 부분을 비워둡니다.
- 라디오의 정보를 잘 듣고, 대피해야 할 때에는 열쇠를 꽂거나 놓아둔 채 문을 잠그지 않고 이동합니다.
9. 전철을 타고 있을 때
- 전철 안의 손잡이나 기둥, 선반을 꼭 잡고 넘어지지 않도록 합니다.
- 전철이 멈췄다고 해서 서둘러 출구로 뛰어가는 것은 위험하므로 안내에 따라 행동합니다.
10. 산이나 바다에 있을 때
- 돌‧바위가 굴러 내려오거나 큰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, 급한 경사지를 피해 평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.
-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 등 높은 신속하게 곳으로 대피합니다.
몸이 불편하신 분은 이렇게 행동합니다.
1. 시력이 좋지 않거나 시각장애가 있는 경우
- 우선은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으로 상황 파악을 합니다.
- 대피가 필요한 경우, 바닥에 낙하물이 있는지 장애물을 점검하며 천천히 움직이고 주위 사람에게 도움을 적극적으로 요청합니다.
-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주변 사람에게 화기가 있는 장소의 점검 등을 요청합니다.
2. 거동이 불편하거나 지체장애가 있는 경우
- 혼자서 행동하지 말고 이웃과 함께 대피합니다.
- 휠체어나 보행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퀴를 잠그고 몸을 앞으로 숙이고, 책 ‧방석‧베개 등으로 머리와 목을 보호합니다.
- 일 수 없을 때는 조금이라도 안전한 장소에서 도움을 기다립니다.
- 야외 넓은 장소 또는 대피장소에 가지 않고 자택에 머무르는 경우에는 이웃이나 관공서 직원 등에게 그 사실을 알리고 고립되지 않도록 합니다.
3. 청력이 좋지 않거나 청각장애가 있는 경우
- 텔레비전의 자막방송과 휴대전화 등으로 정보를 수집하도록 노력합니다.
- 움직일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호루라기 등으로 소리를 내어 장소를 알리고 도움을 받습니다.
- 주변사람들에게 청각장애가 있다는 것을 알리고, 안전한 장소로 유도 및 필요한 배려를 받습니다.
※ 언어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의사소통 도구(종이, 펜 등)를 이용하여 상황을 파악합니다.
4. 정신이 불안정하거나 발달장애가 있는 경우
- 서둘러서 급히 뛰어가거나 바깥으로 뛰어나가지 않습니다.
- 가족이나 도움을 주는 사람들과 미리 정한 것을 지킵니다.
- 혼란스러워 스스로 결정하지 못할 때에는 주위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.
어린이와 함께 있을 때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.
1. 유모차보다는 아기띠를 사용합니다.
- 영유아의 경우 대피 시 유모차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평소에 업는 띠를 준비해 둡니다. 대피 시 아기는 띠를 이용해 안고 손을 자유롭게 해 아기와 자신의 신체를 보호합니다.
2. 신발을 신겨서 안고 대피합니다.
- 지진 상황에서는 유리 파편, 건물 잔해 등으로 도로가 위험하기 때문에 걸을 수 있는 아이라도 안고 대피해야 합니다. 업을 때에는 머리를 보호하고, 안거나 업더라도 반드시 신발을 신깁니다.
3. 손을 꼭 잡고 행동요령을 확인합니다.
-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헤어지지 않도록 손을 잡고 대피합니다. 어린이의 경우 행동요령을 알고 있더라도 필요한 행동을 말해주며 함께 대처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.
지금까지 지진 강도, 피해 사례 및 대피 요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재난은 곧 재앙입니다. 우리에게 더 큰 재앙이 닥치지 않도록 늘 경계하며 각별히 지진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살아야겠습니다.